일본어를 공부하다보면 가끔씩 속어라던지 유행어 때문에 이해가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전을 찾아봐도 모르겠고 그런 경우를 위해 일어속어사전 한 번 펼쳐보겠습니다.
연도별도 우선 2017년에 사용된 일본어속어, 카쿠레힌콘, 곤냐쿠 등 몇몇 단어를 소개드립니다.
一線を越える(いっせんをこえる): 잇센오 코에루
선을 넘다
다른 행위와 선을 긋는다는 깊은 의미를 가진 행위을 말합니다.
어지간하면 눈 감아 줄 수 있지만 이 이상은 해서는 안되는 행위, 용서받지못할 행위를 가리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잘 쓰는 표현이네요.
栄養格差(えいようかくさ): 에이요~ 카쿠사
영양격차
부모님 소득차이로 인해 자녀의 영양에 격차가 생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말로는 흙수저, 금수저 등과 비슷한 듯 하네요.
隠れ貧困(かくれひんこん): 카쿠레힌콘
숨겨진 빈곤
연수입은 1000만엔 가까이지만 저금 등 금융자산이 없는, 얼핏 풍족해보이지만 장래적으로는 궁핍해질 위험성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평균수입보다 약 2배 이상 수입이 있는 가정이 카쿠레힌콘에 빠지는 이유는 해마다 오르는 세금, 보험료인상으로 가계가 압박을 받는데도 재점검을 하지 않고 의식주 중심의, 그리고 수준을 유지하려 하기 때문입니다.
ガリ族(がりぞく): 가리조쿠
생강을 슬라이스해서 단식초에 절인, 우리가 초밥을 먹을 때 흔히 볼 수 있는 생강절임을 가리라고 합니다.
이런 가리를 좋아하는 사람을 가리조쿠라고 합니다.
くるぶし男子(くるぶしだんし): 쿠루부시단시
롤업팬츠등 기장이 짧은 바지를 입고 양말은 안신거나 복사뼈(쿠루부시)밑으로 오는 것을 신어 복사뼈가 밖으로 보이게 하는 패션의 남성을 말합니다.
コンニャク、蒟蒻(こんにゃく): 콘냐쿠
곤약
100만엔 현금을 말합니다. 도대체 곤약과 100만엔 현금이 뭔 상관일까 했는데, 100만엔 지폐다발 두께가 판곤약 두께와 비슷하다고 하네요.
2017년 모리토모학원 등 이런저런 문제로 고노이케장관이 기자회견에서 이 묶음이 돈이었는지, 곤약이었는지, 어묵(카마보코)였는지 우리로(일본판 시루떡)이었는지 모르겠다는 말을 한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銭湯女子会(せんとうじょしかい): 센토죠시카이
목욕탕 여자 모임
대중탕을 이용한 여성들끼리 모임을 갖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만난다면 카페나 술집등에서 만나게 되는데 피곤을 풀 수 있는 대중목욕탕, 찜질방 등에서 모임을 가지는 경우가 2010년경부터 일본에서도 유행하고 있습니다.
ツイットラー(ついっとらー): 쯔이토라
140문자라는 짧은 트위터와 트럼프대통령의 트럼프를 합성한 말로 트럼프대통령을 의미합니다.
트럼프가 트위터를 즐겨 사용한 것도 이유지만 독재정치가라는 의미를 포함해 사용하기도 합니다.
転妻(てんつま): 텐츠마
전근족(관공서나 회사에서 여러 지역으로 전근다니는 사람들) 남편과 결혼한 아내를 말합니다.
전근을 가야할 수있어 이 아내들이 일을 구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런 텐츠마들이 모여 정보공유를 하기도 합니다.
マイニャンバー(まいにゃんばー): 마이냥바
행정수속에서특정 개인을 식별하기 위한 번호를 이용하는 등의 법률에 근거해 지정된 개인을 식별하는 개인번호를 통칭하나는 마이넘버와 고양이를 나타내는 냐~ 를 합성한 말입니다.
고양이에게 부여되는 개별 ID번호를 의미합니다.
無葬(むそう): 무소우
장례식에서 3일장, 5일장 등 빈소를 차리거나 하지않고 바로 화장하는 장례의식을 말합니다.
비슷한 말로 직장(直葬)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화장할때 가족이 지켜보지만 무장(무소우)는 화장할 때 가족이 지켜보지 않습니다.
가족이 멀리 있거나 금전적 문제로 장례식, 빈소를 차리지 못하거나 본인의 의지 등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山メシ(やまめし): 야마메시
산에서 먹는 식사를 말합니다.
등산으로 산 정상에서 스스로 만들어 먹는 식사를 의미합니다. 한정된 도구와 재료로 인스턴트에서 벗어나 좀 더 맛있는 식사를 한다는 의미입니다.
한정된 도구와 재료로 직접 식사를 만드는 레시피를 공개하는 사이트도 생겨났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기본적으로 취사금지 아닌가요? 허긴 그럼에도 고기 구워먹는 사람들 많긴 하지만요.
일본은 안그런가? 좀 알아봐야겠네요.
일어속어사전1, 2017년에 사용된 일본어속어 몇가지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도 어원과 일본어 문법 등 도움될 자료들로 종종 찾아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