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검사를 했을 때 제일 심한 반응을 나타낸 것이 고양이었습니다. 

하지만 고양이를 만져도 그렇게 심하게 알레르기증상을 나타나진 않던데요. 

자세한 고양이 알레르기 원인 및 증상 어떤게 있는지 살펴보려합니다. 

고양이알레르기



고양이 알레르기란 고양이와 접촉해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재채기, 콧물, 기침, 가려움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기본적으로 몸이 익숙해지면서 알레르기반응이 자연치유될 일은 없습니다. 

따라서 혹시라도 고양이를 키우려고 마음 먹었다면 우선 자신을 비롯한 가족들 모두가 고양이 알레르기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고양이 알레르기 원인 및 증상 



고양이 알레르기 원인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이물질을 항원, 알레르겐 이라 합니다. 

고양이 알레르기의 알레르겐은 현재 8종류가 알려져 있습니다. 

Fel d 1 : 고양이 알레르기 환자의 약 90%는 이 알레르겐에 반응한다고 합니다. 

또 이에 반응하는 사람은 사자나 호랑이 등에 반응하기도 합니다. 


Fel d 2 : 알부민으로 구성되어 있고, 고양이 알레르기 환자의 약 22%가 이 알레르겐의 IgE항체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구조가 돼지고기에 함유된 혈청알부민과 비슷합니다. 

따라서 아주 드물기는 하지만 고양이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난 후 돼지고기 먹고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내는 사람도 있습니다. 


Fel d 3 : 시스타친으로 구성되어 있고 약 60~90%가 IgE항체를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Fel d 4 : 주로 고양이 침에 함유된 리포카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알레르겐에 반응하는 사람은 말, 쥐, 토끼, 개 의 특정알레르겐에도 반응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고양이알레르기

Fel d 5 : IgA라 불리는 면역글로블린의 일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로 고양이 침에 함유되어 있고 38%정도가 IgE항체를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Fel d 6 : IgM이라 불리는 면역글로블린의 일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약 38%가 IgE항체를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Fel d 7 : 2011년에 발견된 새로운 알레르겐으로 고양에 혀에 있는 기관에서 분비되는 피로카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개 알레르겐인 Can f 1 과 구조가 비슷해 이에 반응하는 사람의 대부분은 개 비듬에도 반응합니다. 


Fel d 8 : 2011년에 발견된 새로운 알레르겐입니다. 

말의 Equ c 5알레르겐과 비슷해 말에 알레르기반응을 일으키는 사람도 있습니다. 

고양이알레르기

고양이 알레르기 원인 중 가장 비중이 높은 것은  고양이 피지에서 분비되는 Fel d 1이라 불리는 당단백

그리고 고양이 타액속에 존재하는  Fel d 4 두가지입니다. 

Fel d 1은 고양이 피부에 존재하는 피지선, 항문선, 타액선에서 분비되는 알레르겐입니다. 특히 얼굴과 목주변 털에 많습니다. 

Fel d 4는 주로 턱 밑의 타액을 분비하는 악하선에서 방출되어 구르밍을 할 때 털에 붙었다가 공기중으로 확산됩니다. 


고양이 알레르기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는 고양이 종류는 약 12~13종 정도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 또한 알레르겐의 생산량이 적거나 털이 덜 빠지거나 하는 정도일 뿐입니다. 

알레르겐이 없는 고양이는 없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고양이 알레르기 증상 

주로 히스타민이라 불리는 체내 화학물질에 의해 야기되며 감기증상과 비슷합니다. 

고양이 알레르기 증상 중 전형적인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 눈 알레르기 증상 : 가려움, 충혈, 눈물, 부음 

* 코 알레르기 증상 : 가려움, 콧물, 재채키, 코막힘 

* 목 알레르기 증상 : 통증, 기침, 천식 

* 피부 알레르기 증상 : 벌겋게 부풀어오름, 가려움 

* 그외 : 가슴을 옥죄는 감각과 입술이 부풀거나 가렵고 천식처럼 쌕쌕거리는 숨과 기침 등 


고양이 알레르기 원인 및 증상 살펴보았습니다. 

혹시라도 고양이의 집사가 되려고 준비중인 분이 있다면 자신과 가족들의 고양이 알레르기 검사 반드시 해보셔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