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바코드 스캐너 간단사용법
전에는 주로 QR코드를 보면서 상품을 검색하고는 했는데 요즘은 또 다르게 바코드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바로바로 상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서 밖에서 쇼핑할 때도 굉장히 편하더라구요.
바코드라는 것은 다 잘 알고 있겠지만 8~16개의 까만 세로줄이 이 제품을 생산한 국가와 상품의 종류, 제조한 업체와 유통경로 등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해 놓은 것입니다.
지금 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는 모바일 네이버 즉 앱을 따로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앱스토어나 구글플레이등에서 앱을 다운받아 설치해야 합니다.
이제 바코드 읽어보겠습니다. 스마트폰에서 네이버앱을 켜고 검색을 터치합니다. 그러면 검색화면 아래에 마이크와 카메라 비슷한 네모난 마크 그리고 위치 표시 등이 뜨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스캐너 란 네모난 카메라 같은 것입니다. 이것을 터치합니다.
그러면 화면이 까맣게 카메라 모드로 변하면서 QR코드 또는 바코드 인식해서 웹페이지, 상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네모칸 안에 알아보고자 하는 상품의 바코드 오도록 합니다.
집에 있는 왁스를 한번 스캐너 통해 읽어보았습니다. bar code 쪽에 카메라를 맞추면 초록색으로 네모난 것이 생기면서 읽어 줍니다. 저는 집에 있는 제품이었지만 만약 마트나 매장에서 구입하거나 검색하려는 상품이라면 위에 나타나는 결과 창을 터치해주면 바로 상품 검색을 할 수 있습니다.
제가 구입한 상품이 네이버 바코드 스캐너 통해서 검색이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검색창에 상품명을 써서 확인하기도 했는데 이제는 이렇게 바로 읽어서 scan하니까 편하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