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라면 평균적으로 35년에서 40년간 매달 1주일 정도를 생리기간으로 지내야합니다.
합하면 6년반이상의 시간을 생리와 함께 보내고 있는 계산이 되네요.
생리주기 그리고 내막의 변화, 호르몬분비 변화 및
연령별 생리통 증상 등 여러가지에 관해 알아볼까 합니다.
* 월경기
배란된 난자와 정자가 결합해 수정란이 되어 자궁내막에 착지하면 임신.
임신되지 않은 경우 황체호르몬, 배란호르몬가 함께 분비가 감소되고
필요없게 된 자궁내막이 벗겨져 혈액과 함께 체외로 배출되는 것을 생리, 월경이라고 합니다.
* 증식기(난포기)
난포자극호르몬 활동으로 난소에 있는 원시난포의 하나가 발육을 시작한다.
난포가 발육함에 따라 난포 호르몬이 분비되어 자궁내막이 조금씩 두꺼워진다.
* 분비기(황체기)
난자가 배출된 후의 난포가 황체라는 조직이 되어 황체호르몬이 분비된다.
수정란 착상 준비를 위해 자궁내막이 부드러워진다.
생리주기 계산
생리가 시작된 날부터 다음 생리가 시작되는 전날까지를 생리주기 또는 월경주기라고 합니다.
생리주기는 보통 25~28일이 정상이며 24일 이내로 주기가 짧으면 빈발월경,
39일 이상이면 희발월경이라 부릅니다.
또한 순조로운 생리기간은 3~7일간이며 하루이틀로 끝나는 경우 과단월경,
8일이상 계속되면 과장월경이라 부릅니다.
배란통
생리주기에 맞춰 여자들 몸과 마음, 기분은 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생리와 생리 중간쯤 무렵 즉 배란일을 낀 2,3일을 배란기라 부르고 있눈데요,
사람에 따라 이 배란기 시기에 배란통이라는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배란에 맞춰 크게 성장한 난포가 복막을 자극하거나
난소에서 난자배출시 상처나 출혈등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생리전증후군(PMS)
가슴이 커지고 아프며 유두가 민감해집니다.
두통과 어깨결림, 요통, 설사, 여드름, 피부거침, 초조, 불안, 우울, 졸음,
과식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생리통
아랫배통증, 요통, 구역질, 설사, 초조, 불안, 빈혈, 나른함, 붓기,
졸음, 피부거침, 우울증 등을 동반합니다.
생리주기 계산 및 생리주기의 여러 상황을 알아봤는데요,
생리전증후군과 생리통 그리고 배란통 등 여러가지 통증을 느끼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리고 10대때부터 40대중후반 내지는 50대까지도 이런 증상들이 계속될텐데요,
이 생리통 또한 연령별 증상이 조금씩 다르다고 합니다.
연령별 생리통 증상
10대 생리통 증상 : 일반적인 25~28일 생리주기가 10대때는 불안정한 경우가 많습니다.
무배란성월경으로 시작되어 점점더 안정되면서 배란을 동반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자궁 수축이 강해지고 생리통이 심해지면서
학교에 가는 것조차 힘들정도의 증상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성장이 이루어지는 이 시기에는 식사와 수면 및 몸을 차갑게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20대 생리통 증상 : 난포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황체호르몬인 프로게스테론이 균형있게 분비됩니다.
이 시기에 정확안 생리주기 등을 계산하고 기초체온 등을 체크해 놓으면
그 후 몸관리에도 크게 도움이 됩니다.
이 시기에 월경이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는데 난소나 자궁에 관계된 여성만의 병이 있을 수 있으니
무월경이나 불안정한 생리주기 반복을 보게 된다면 바로 산부인과의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몸을 항상 따뜻하게 해야 합니다.
30대 생리통 증상
여성으로서의 성숙기에 접어 듭니다. 여성호르몬분비량도 가장 많은 시기로
요즘은 이 시기에 출산을 경험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35세를 정점으로 여성호르몬은 조금씩 줄어듭니다.
또한 산후 여성에게 많은 생리전증후군을 앓는 여성도 많아져서
생리1주일전부터 온 몸에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상생활과 육아, 가사, 직장 등 여러가지로 바쁜 30대 여성이 생리전과 생리통도 너무 힘들어 일상생활에 지장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40대이상 생리통 증상
30대후반부터 감소하기 시작하는 여성호르몬 중 하나인 에스트로겐분비가 급속히 감소하면서
40대 중반이 되면 갱년기로 접어들게 됩니다.
40대가 되면 난소기능도 저하되고 배란 횟수도 감소됩니다.
개인차는 있지만 갱년기는 45세정도부터 조금씩 폐경이 시작되고
생리주기가 길어지거나 짧아지기를 반복하게 됩니다. 갑작스런 출혈이 있거나
몇달씩 생리를 건너뛰거나 하면서 불안정해지게 됩니다.
완전히 폐경이 되는 것은 50대를 지나서인 경우가 많아
40대 여자는 이런저런 생리에 관련되어 몸의 상태가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생리주기 및 연령별 생리통 증상 그리고 생리특징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모든 여성에게 찾아올 갱년기를 슬기롭게 이겨나가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