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가 뭉치고 결린다던가 팔과 등이 나른해지는 증상이 있나요?
혹시 병원에서 흉곽출구증후군이라는 진단을 받은 적 있나요?
도대체 무슨 병일까요?
별로 들어본 적 없는 생소한 병명인 이 흉곽출구증후군 증상 및 원인 등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흉곽출구증후군 증상 및 원인
1. 정의
쇄골부근에서 완신경총(팔신경얼기)라는 팔과 손가락으로 가는 말초신경다발이 팔과 손가락으로 가는 쇄골하동맥과 쇄골하정맥이라는 혈관과 함께 압박을 받아 생기는 질병이다.
심장에서 이어진 혈관이 흉곽을 나온 곳에서 신경과 함께 압박받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게 되었다.
목, 어깨, 팔을 특정 위치로 바꾸면 팔과 손가락이 저리고 통증이 나타난다. 목이 길고 어깨가 완만한 여성에게 많다.
2. 원인
쇄골부근에서 신경과 혈관을 압박하는 원인은 몇가지가 있다
이런 것을 모두 흉곽출구증후군 이라고 한다.
사각근증후군 : 전사각근과 중사각근이라는 목 근육 사이에서 압박
늑쇄증후군 : 쇄골과 제1늑골 사잉에서 압박
소흉근증후군 : 소흉근을 통과할 때 압박
경륵증후군 : 경추에 있는 늑골에서 압박
원인은 크게 두가지로 나눈다.
선천적인 원인
경부늑골, 우발성 섬유밴드, 갈라진 쇄골 등.
1늑골이 갈라지거나 쇄골 및 1늑골의 과다성장, 흔적성 제1흉부늑골, 제7경추 큰 횡돌기 등
외상성 원인
쇄골 또는 1늑골 골절, 상완골 머리 탈구, 근육견갑, 경추골사이의 연골 압박변형으로 나타나는 경부척추증
3. 증상
자각증상
만성적으로 심한 어깨통증, 손가락 중지~새끼손가락에 묘한 위화감이 계속 되면서 저린다.
목~어깨주변 통증, 어깨에서 팔까지의 나른함, 악력저하, 근력저하, 무건은 것을 들면 증상이 악화
같은 자세로 있으면 통증이 더 심해진다. 어느 특정동작과 자세에서 증상이 심하다.
PC작업, 마우스조작시 증상이 나타나거나 악화된다.
이러한 증상이 계속 나타난다면 증상을 악화시키는 동작을 금지하고 소염진통제를 복용합니다.
증상이 심해지면 원인에 따라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흉곽출구증후군 증상 및 원인 등에 관해 살펴보았습니다.